스타갤러리작가

Artist

Artist image

박윤미

*SOLO EXHIBITIONS 2024. 8~11 ‘나의 나무‘ –퍼블릭갤러리 동탄 2024. 7 ‘찬란한 나무‘ –양주시청 오픈갤러리 3층 양주 2024. 5~8 ‘자아의 심연‘ –퍼블릭 갤러리 서울 2024. 2~5 ‘My dream, my tree‘ –퍼블릭 갤러리 서울 2023. 10 ‘행운을 부른다’ –마롱 갤러리 1,2층 전관 서울 *GROUP EXHIBITIONS 2024. 8 제1회 프로젝트 너.이.들 단체전-인테그랄갤러리 서울 2024. 8 여름선물28전- 비움갤러리 서울 2024. 7 CAAS 3- 이스트 아뜰리에 갤러리 서울 2024. 6 100인10호100작품전- 비움갤러리&갤러리아람 서울 2024. 6 thehecheomoyeo 6 국제그룹전- KOTE 노브 갤러리 서울 2024. 4 thehecheomoyeo 5 국제그룹전- Bangkok 2024. 2 thehecheomoyeo 4 국제그룹전- 이스트아뜰리에 갤러리 서울 2024. 2 현대회화 100인 기획전- 5부 초대그룹전-공간:숨 갤러리 수원 2024. 1 현대회화 100인 기획전- 3부 초대그룹전-공간:숨 갤러리 수원 2023. 12 현대회화 100인 기획전- 2부 초대그룹전-공간:숨 갤러리 수원 2023. 12 thehecheomoyeo 3 국제그룹전- 이스트 아뜰리에 갤러리 서울 2023. 9 ‘VIVIDNESS’ 8인 단체전 – 마루아트센터 5관 인사동 서울 2023. 8 아트오일장 – 갤러리아미디 한남 2023. 8 중앙회화대전 – 한국미술관 인사동 서울 2023. 8 ‘숲의 노래:마음을 담아내어‘- 갤러리아미디 서울 2023. 7 제9회 끌림전 – 동대문 구청 아트갤러리 서울 2023. 7 제44회 대한민국창작미술대전 – 홍익대학교 대학로 아트갤러리 서울 2023. 7 Leffica ‘Orbit’ – 아트스페이스 이색 서울 2023. 4 제11회 한국창작문화예술대전 – 동대문구청 아트갤러리 서울 2023. 3 제3회 RAF : “The Pursuit of Happyness”- 꼴라보하우스 문래 서울 2013. 2 New-millennium Exhibition - gallery galaxy 중국 2012.12 T.I.M.E - 이앙갤러리 서울 *ART FAIR 2024. 9 아트레코드 청주-국립현대미술관 청주관 옆 문화제조창 청주 2024. 8 제주 아트페스타-제주 국제 컨벤션센터 제주 2024. 8 뱅크아트페어 – 세텍 서울 2024. 6 아트페스타 – 세텍 서울 2024. 5 서울아트페어 – 세텍 서울 2024. 2 WAE 월드아트엑스포 – 코엑스 서울 2024. 1 GIAF 더그랜드 아트페어 – 신라호텔 장충동 서울 2023. 12 MIAF 명동국제아트페스티벌 K-ART SHOW SEOUL – 롯데호텔 본점 서울 2023. 11 국제블루아트페어 – 파라다이스호텔 부산 2023. 11 핑크아트페어 – 신라호텔 장충동 서울 2023. 5 대한민국 미술박람회 – KINTEX 일산 *AWARD 제2회 한국여성작가 회화공모전 ‘입선’ 수상 제3회 중앙회화대전 ‘입선’ 수상 제44회 대한민국창작미술대전 ‘은상’ 수상 제11회 한국창작문화예술대전 ‘금상’ 수상 *언론 노출 노력하고 인내하는 사람들에게 행운을, 박윤미 작가 첫 개인전 《행운을 부른다》 < 문화 < 기사본문 - K스피릿 (ikoreanspirit.com) 우리가 놓치고 사는 작은 소리, 갤아월 단체전 《숲의 노래 : 마음을 담아내어》 < 문화 < 기사본문 - K스피릿 (ikoreanspirit.com) 레피카, 신진 작가 단체 전시 'ORBIT’ 개최 < 예술 < 문화 < 기사본문 - 뉴스브라이트 (newsbrite.net) 신진 작가들의 삶의 궤도를 담은 단체 전시 《ORBIT》전 < 문화 < 기사본문 - K스피릿 (ikoreanspirit.com) *그 외 활동 2024. 9~11 경기도 찾아가는 미술관 초등학교 전시 2024. 3 플리옥션 -2작품 낙찰 2023. 8 플리옥션 – 5작품 낙찰 *온라인 퍼블릭갤러리 사이트 등록 사치갤러리 사이트 등록 에코락갤러리 사이트 등록 굴곡을 포함한 삶의 여정, 나의 나무 박윤미 작가의 나무는 모든 순간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삶에 대한 표상이다. 현실과 분리된 작품 속 나무를 통해 삶의 주체에 대해 사유하게 한다. 울창한 나무의 생명력이 가득한 모습을 통해 불완전한 경험을 이어가는 현대인들에게 삶의 관찰,고찰,통찰,성찰을 환기하게 한다. 현실로 인해 외부의 형상만을 쫒는 것이 익숙한 현대인들이 스스로 자신만의 원천을 찾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아 나무로 표현한다. 작가가 지향하는 예술이란 삶을 영위하는 것 그 자체이다. 나무를 통해 우리가 겪는 모든 것들이 예술이 될 수 있으며 삶을 주체적으로 경험하고 의미를 부여하며 생동감 있는 하루를 살아갈 수 있는 것, 삶 자체를 예술로써 표현하고 있다. 작가는 구상적인 나무의 표상에 삶의 굴곡을 추상적으로 담아내며 관람자들에게 성찰의 기회를 부여하는 동시에 고난과 시련에도 자신만의 온전한 나무를 키우기를 응원하는 마음을 담아낸다. 이로써 “나의 나무” 는 현대인들이 스스로 잊고 있던 삶의 방향을 깊이 있게 관철하고 상기시키게 해주며 이때 달은 삶의 가치를 환기시키는 매개체의 역할을 가진다. 삶의 순환 속 모든 순간 온전한 자신만의 찬란한 나무가 그리는 삶의 여정을 응원한다.

#나의나무
Artist image

김소연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회화전공 졸업 김소연 E-sauce444@naver.com M-010-3791-9651 Instagram- instagram.com/gimsoyeon7939 Solo Exhibition(개인전 및 초대전22회) 2023 평범한 것의 아우라 (안젤리 미술관) 2023 Blossom ‘다시 꽃을 피기 시작했어요’(화성시 생활문화 창작소) 2023 LA 아트쇼(켄벤션센터) 2022 색 향기를 담다 (나눔 갤러리 블루) 2022 With nature (36,5 갤러리) 2021 색에 향기를담다(플라타너스 개관초대전) 2021 미르전 예술인대전(용인문화예술원) 2021 花답하다 (박연문화관) 2020 With nature (갤러리더플럭스선정작가) 2020 자연과 조우하다 (갤러리 너트우수선정작가) 2020 LA 아트쇼(켄벤션센터) 2018 안산국제아트페어AIAF 초대전 2016 수원미술전시관 아트페어 다수 현)한국여류화가 협회 회원, 한국미협, 동탄현대작가회회장 수상 -한국미술제 은상수상 2016 나혜석 미술대전 입선 2017 서리풀 ART for ART 대상전입선 2017 서리풀 ART for ART 대상전 입선2020 대한민국 미르전 예술작가 선정2021 모란현대미술대전 입선2021 인천국제미술전람회 특별상2022 티아트 공모전수상2022 Group Exhibition(250여회) 2022 <Our Heterotopia> 4 (인사아트센터) 2022 홍익 영 아트리스트 단체전(아트컨티뉴) 2022 한국여류작가협회전(금보성아트센터) 2021 보타닉621 (인사아트센터) 2021 walking with nature (KUMA 계원예술대학교 미술관) 2021 “자화자찬”3인전(갤러리41) 2020 서리풀ART for ART (한전아트센터) 2020 <Our Heterotopia>3 (토포하우스) 2020 홍익 영 아트리스트 단체전 (스페이스9) 2020 ‘아주 특별한 5인전’ (갤러리41) 2020 소소한 기억연대 (토포하우스) 2019 “보다, 보이

#꽃추상
Artist image

박영미

개인전 2024 초대개인전, 도슨트갤러리, 김해진영 2024 초대개인전, 파티마병원갤러리, 창원 2024 초대개인전, 청담미엘, 서울 2024 초대개인전, 퍼블릭갤러리, 서울 2024 초대개인전, 코코앤켈리, 부산 2024 초대개인전, 퍼블릭갤러리x까페295, 서울 2023 초대개인전, 남명갤러리, 김해 2023 부스초대개인전, 갤러리원, 롯데백화점 창원점 2023 부스초대개인전, 도슨트갤러리, 김해 단체전 및 아트페어 30여회 이상 2024 어반브레이크 서울 2024 비비드 기획전, 휴갤러리 2024 경남국제아트페어 2024 울산국제아트페어 2024 조형아트서울2024 2024 서울 온 김해, 김해청년작가협회특별전, 인사아트센터 2024 부산국제화랑아트페어 BAMA 2024 From the Beginning, GALA ART CENTER, New York 2023 김해비엔날레, 도슨트갤러리 2023 어반브레이크x부산 2023 울산국제아트페어 2023 대구국제블루아트페어 2023 4인4색전, 갤러리 림해, 부산 2023 시각예술분야 불가사리프로젝트 ‘만남, 그 후’전, 윤슬미술관 2022~2024 아트가야 AGF아트페스티벌, 윤슬미술관 2022~2023 경남미술청년작가회정기전 ’ARTCOMBINE’ 2022~2024 김해청년작가협회 정기전 外 -작가노트- 봉다리군의 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찾기 제가 그리고 있는 그림에는 봉다리군 이라는 검은 고양이 캐릭터가 등장합니다. ‘깜장 봉다리’ 라는 이름은’ 검은 봉지’의 경상도사투리입니다. 봉다리군은 제 자신, 또는 주변 인물들의 모습을 반영했습니다. 저의 그림 속에서 추구하는 큰 줄기는 ‘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 찾기’ 입니다. 누구나 행복을 말하지만 봉다리군은 행복이 어떤 모양이며 어떤 맛이 나는지, 또 어떤 냄새가 나는지 구체적으로 알고 싶어 가까운 내 주변부터 하나 하나 탐색하고 있습니다. 우선 자신에 대해 알아가고, 좋아하는 것을 하나씩 하다 보면 행복에 더 가까워 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검은색인 봉다리군은 마치 크기도, 두께도, 모양도 정해져 있지 않은 무한한 블랙홀과 같습니다. 블랙홀 같은 멋진 색을 두르고 있으면서도 그저 어둡고 까맣다는 주변의 시선 때문에 자신이 얼마나 많은 별들을 품고 있는지 모릅니다. 봉다리군은 자신 안에 있는 무한한 가능성 느끼며 블랙홀처럼 멋진 고양이가 되고 싶은 꿈을 꿉니다. 봉다리군을 통해 저와 주변의 소소한 이야기들을 풀어나가며 유머, 신뢰, 따뜻함 등 다양한 감정들로 소통하길 희망합니다.

#고양이
Artist image

후후

후후 / HooHoo ● 현재 - 작가 / 히즈아트페어(HE`SART FAIR) 운영위원장 - Academie Grand-Chaumiere de paris FRANCE 수료 - Ecole Superieure des Arts Appliques, Boulle(paris FRANCE) 수학 -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미술관박물관학 전공 - 한국예총, 한국미협, 서울미협, 한국전업미술가협회, 신작전외 ● 경력 전시경력 : 16회 초대개인전 국내외 그룹 및 단체전 : 350여회 국내외 아트페어 : 250여회 수상경력 - 2024 한국미협 비구상전, 중앙회화대전, 서울국제미술대상전 특선 수상 - 2023 경기미협 경기,하남미술대전 특선 수상 - 2023 오사카갤러리 6주년 한.중.일 동아시아 미술축전 교토왕예제 미술관장상 / 일본 오사카 - 2023 미술축전 우수작가상 수상 - 2022 부산국제미술대전 특선 수상 - 2022 제10회 아트챌린저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 선정작가 / 올해의 작가상(한국예술 문화단체 총연합회) - 2021 통일미술대축전 대회장상 수상 - 2020 국제한얼문예대전에서 협회장상 - 목우공모미술대전, 대한민국회화대전,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 아시아태평양미술대상전, - 글로벌경제문화발전대상 문화예술발전부문 서양화부문 대상 - 대한민국 혁신한국인&파워블랜드 미술부문 문화예술인상 대상(월간 한국인) - 한국용산예술인총연합회 문화예술 미술부문 “문화예술인상” 대상외 작품 소장처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한국수력원자력, 서울아산병원, 경희대학교부설 유치원, 대구은행, 롯데 속초리조트, 법무법인 더펌, 주)세한 와이스파치오/끌램, 압구정 비앙카성형외과, 알랭미끌리 코리아, 주)대신해운항공외 개인소장 작가노트... 매년 테마를 정하며 100작업을 거치면서 되돌아보니 10년여 동안 1,000작품 넘게 해왔던 것 같다. 붓을 들고서 스스로에게 다짐하며 약속한 어쩌면 너무도 늦게 출발함에 대한 고된 채찍질이라 여기면서 그렇게 다작(?)으로 스스로를 트레이닝 하듯 현재에 서 있다. 그러한 작업의 시간과 자신만의 내공을 쌓아가 듯...캔퍼스위 물감들의 뒤엉킴 속 범벅이 되어가면서 그리고 그려대고 그려가면서 무조건적으로 캔퍼스속에서 이었다. 시간 가는줄 모를 정도로 바닥에 놓여진 다시금 크지도 작지도 않은 캔퍼스를 바라보며 두렵고, 무섭고, 새로움에 서 있는 작업실에서 자신도 모르는 사이 순간 작업이 진행 되지 않음은 이제서야 조금이나마 작업이란 것에 대한 가벼움이 아님을 아주 아주 조금씩 깨달음일까? 몇날 며칠을 낙서와 공상과 망상으로 얼룩지면서 색과 모래와 함께 던지듯 스들 듯 캔퍼스에 나를 던져본다. 뿌려대고, 바르고, 지우고, 다시 그려대고 멈추다가 또 뿌려대고 그렇게 순간 조금씩 스며들어 가 듯 색의 향에 던져 휘몰아는 잔잔하게 울림으로 다가오는 엔틱함은 현대의 음율보다 더 귀한 정통과 함께 변하지 않는 삶의 진정성과 작업의 정석을 바탕으로 하는 작가가 가야만 하는 이단이 아닌 정통성(?)에 어긋나지 않기 위한 하나의 몸부림 속 스며듦이다. 캔퍼스위 삶의 흔적들처럼 어쩜 치열한 하루하루처럼 살아 가는지도 모른다. 하얀 모래알들을 모아 모아 캔퍼스위 반복적으로 뿌려가며 마치 그 위 살아남은 자의 울부짖음처럼 그렇게 새롭게 탄생하게 하는 생명체로서 이어가는 마치 무에서 유를 만들 듯 아름다운 창조자의 역할로 매일매일 작업으로 또 하나의 스며듦에 빠져간다. 작업은....쉽게 누구나 그려대는 작업이 아닌 하나하나 해 왔던 기존의 작업을 바탕으로 엎 되어 또 다름으로 이어가기 위한 싫증 나지 않는 오랜 시간의 흐름에도 변하지 않는 정통성의 클래식에서만 흘러 나오는 음율과 함께 자신만의 색으로 취한 느낌에서 나온 작업에 오래오래 스며듦이다. 사람과 사람에게든 자연과 사람에게든.. 그 어떤 모든것들에 대한...스며들다...라고 올해의 테마인 “클래식에 취하다 보니 색에 스며들다.”라는 것이다.

#모래아트
Artist image

성하림

2024 아트 페스타 서울 아트 페어 출품 2023 몰입의 숲展 초대출품 (소통 한방병원) 라하트 갤러리 기획 2023 제 12회 블랑블루 아트페어 출품 2023 증평군청 김득신 문학관 초대전 2022 해피아트갤러리 초대전 2021 비씨조명 미술관 초대전 2021 제46회 안양미술협회회원전 (평촌미술관) 2021 Korea Art 우수작가 300인전 (평촌아트홀) 2020 제45회 안양미술협회전 (비대면 오프닝) 2020 대한민국 미술로 하나되다 전시 ( 한국미술관) 2019 안양미협전 ( 평촌 미술관) 2019 제28회 포도미술제(평촌아트홀) 2019 한국미술협회전 (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 2019 청담동 갤러리 알렌 개관전출품 (청담 알렌 센터) 2018 정음 미술관 초대전 2018 갤러리카페 아더윤 초대전 2018 에르네스토 초대전 2018 갤러리카페 꿈의 조각들 초대전 2018 UHM 갤러리 초대전 2018 매지페스트초대전 2018 안양미술협회전 (평촌아트홀) 2017 SCAF Art Fair 스카프 아트페어 출품 (서울 콜렉터 아티스트 페스티벌) 롯데 호텔 아트페어 2017 성하림, 몽우 조셉킴 2인전 (북한산 미쉘갤러리) 2017 몽우 조셉킴 컬렉션 갤러리 초대전. (헤이리) 2016 5인5색 화가들의 꽃 그림전 (헤이리 류재은 베이커리) 2016 향 갤러리 초대전 2016 Duty Free Store Invitation Exhibition (항공면세점 초대개인전.강남) 2015 예사랑 갤러리 초대전 2015 애플아트 갤러리.뉴스투데이.초대전 (서울) 2015 한국 미술 국제 교류 초대전. (서울시립미술관) 2015 한국 미술 국제 공모전 한국미협이사장상 수상 (서울시립미술관) 2015 윤강욱 피아니스트와 7인의 작가 작품 즉흥 연주 와 전시 (아리수 갤러리, 인사동) 2015 한국미술교류협회 초대전 2015 도어즈 호텔 아트페어 부스전 (임페리얼 펠리스 호텔, 서울) 2015 아시아 현대미술 아트쇼 (콘레드, 홍콩) 2015 핫플레이스 복합 문화예술 공간 '와린' 초대개인전 2014 prominent 4 artists Exhibition (중진작가 4인전) 2013 한국미술협회전 (예술의 전당 한가람 미술관) ​2013 제주특별자치도 문화예술진흥원 초청 현대사생회 제주 특별전 (제주) 2013 제38회 안양 미협전 2013 미국 리버싸이드 갤러리 초대전 (미국) ​2012 한국.필리핀 현대미술 국제교류전, (필리핀, 한국 국립현대미술관) 2012 출판기념 "아름다운 동행전" (바이올렛 갤러리, 인사동) 2012 안양미술협회전 2011 한국 미술 파티 초대전 2011 미국국제초대전 (박화인아트) 2011 경기의 사계 - 아름다운 산하전 2011 36회 안양미술협회전 및 한.중 국제미술교류전 2010 크리스찬 아트페어 (밀레니엄 힐튼호텔) 2010 안양미술협회전 2010 대한민국미술단체 일원회 회원전 2010 아트 2010 (단원미술관) 2010 포도미술제 (알바로시자홀) 2010 태산한강 중한 국제미술대전 2010 개인전 'You are my Sunshine' (서호갤러리, 인사동) 2010 한국 국제 아트엑스포 초대전 (조선미술관) 2010 굿모닝 새아침전 2009 년말연시 감사의 마음전 2009 한국미협전 (세종문화회관) 2009 안양미술협회전 2009 한국 현대미술 유망작가 초대전 2009 현대미술의 동행-9인 초대전 2009 New york invitation solo exhibition 미국 뉴욕 초대 개인전 (미국 뉴욕) 2009 일원회 정기전 (세종문화회관) 2008 대한민국 현대미술 1000인전 (단원미술관) 2008 제33회 안양미술협회전 (알바로시자홀) 2008 View Contemporary art exhibition (현대미술조망전) 2008 Daegu art festival (대구 아트페스티발) 2007 한국·일본 오사카 교류전 (일본 오사카) 2007 한국·인도 국제교류전 2007 화가들의 소통전 2007 희망나눔의 전시 2005 안양미협 30주년 안양미술제 2003 Solo Exhibition (개인전) 1995 Invitation to Artists Exhibition (미술인들의 초대전) 1989~90 한국 초상미술대전 입선 외 우수 미술인들의 초대전시 ​ (​방송,언론) ​ 2022 전북일보 (2022,4,7)수록 2022 새전북일보 (2022,4,5)수록 2010 성하림 뉴욕 초대전시 TKC 방송 성하림 인터뷰 (News Desk) 2010 (KBS 1 TV미술관 2010년12월 23일 밤 12시30분 (크리스마스특집 40분간) 방영- The Christian Art Fair 2010 성하림 작품 소개) 2010 Sponsorship artworks to MBC drama (MBC 방송 드라마 "즐거운 나의집" 작품 협찬) 2010 Sponsorship artworks to SBS drama (SBS 방송 드라마 "내 여자친구는 9미호" 작품 협찬) ​2013 6월12일 제주 일보-성하림 작품 "해녀의 하루"소개 ​ ​ ​(심사위원) ​ 2013 초등학교 미술대전 심사위원 역임 2012 (주)환경일보 주최 전국 문화 예술대전 심사위원 역임 2011 관악 현대미술대전 심사위원 역임 2010 대한민국 환경 미술대전 심사위원 역임 ​ [출처] 서양화가 성하림 프로필|작성자 오정엽

#달항아리 꽃 정물
Artist image

성애리

개인전15회 부스및아트페어38회(조형아트쇼 광주아트페어,서울아트쇼,SOAF,KIAF,경주아트페어,휴스턴아트페어,통영,대전아트페어,이스탄불,싱가폴어프터블,까우숑 두바이월드아트페어 부산아트쇼 홍콩컨텐버러리 대구아트페어 후쿠오카아시아아트페어 광저우아트페어 홍콩프리미어아트페어, 창원아트페어, BAMA(부산) 등 국내외) GFA입니다. COLLECTIDN.론칭쇼(USA.virginia)& 나환우돕기초대전 여류수채3인전과 Summer art festival 6인전. 파라고네5인전. 국제여성미술제 평창비엔날레초대전 외 국내외 단체 전 222여회 경력 : 성남 성일중 교사역임 한국수채화공모대전 심사위원역임 SCANIA달력 제작 성남중부초등학교미술협력교사역임 평창비엔날레초대작가 現) 한국미협, Group물, 성서미술선교회원, 국제여성미술제회원 GFA전속작가(USA) 싱가폴1819갤러리 전속작가 -작가노트- 물속에 있어야 할 비단잉어가 태연히 모란 꽃잎 사이로 유영하는 모습이 왠지 낯설다는 기분에 사로잡히는 순간 혼란에 빠진다. 자연스러움을 가장한 모란과 비단잉어의 공존은 의표를 찌르는 조형의 반란임이 분명하다. 이렇듯이 전혀 어울리지 않을 듯싶은 조합이 지어내는 시각적인 아름다움과 가벼운 충격은 비현실적인 공간개념에 대한 의문을 상쇄시킨다. 땅과 물이라는 이질적인 상황을 하나로 통합하는 조형의 비결은 시각적인 아름다움에 있다. 비현실적인 상황을 마치 현실인 것처럼 감쪽같이 착각에 빠뜨리고도 태연한 모란과 잉어의 공존, 그 존재 방식이야말로 그가 찾아낸 형식미의 요결이다. 즉, 서로 상치되는 이미지를 하나로 묶는 조형 개념은 시공을 초월하는 조형의 묘술이다. 또한 그림 속의 이미지에서 부드러운 감촉을 경험한다는 것은 상상할 수 없는 일이다. 솜털처럼 부드러운 이미지는 촉각이라는 감각기관에 대한 새로운 제안이자 발상의 전환이다. 이렇듯이 감촉을 유발하는 섬유질을 도립함으로써 얻어지는 효과는, 부드러움과 따스함이 지어내는 달콤한 꿈과 사랑, 행복의 감정을 유발한다는 점이다. 시각적인 이미지가 유도하는 감정의 반응과는 또 다른 표현영역인 셈이다. 서로 다른 공간에 존재하는 물상과 엉뚱한 재료를 조합하는 그의 그림을 통해 우리의 상상력은 확장되고 미적 감정은 풍부해진다. 그가 펼쳐놓은 비현실적인 조형공간에서는 그림에 대한 고정관념이 깨짐과 동시에 시각적인 쾌감이 일어난다. 아름다운 상상력이 지어내는 초현실적이고 환상적인며 몽상가적인 조형의 세계를 탐닉하는 즐거움에 빠져보자. - 성애리의 우아한 상상-

#달항아리 정물
Artist image

김영선

김영선 화가 작가노트 ‘달항아리(Moonjar)’를 통한 마음의 평화 긴긴 세월이 흘러서 이제는 기억도 아스라한 어느 해 8월, 그해 여름의 뜨거운 햇살이 좁은 골목 안을 가득 채울 때, 나는 담장 밖의 고개 숙여 외롭게 홀로 서 있는 키 큰 해바라기를 떠올리면서 화가의 꿈을 꾸었고, 활동 초기에는 작품 소재의 다양성과 색채의 대비를 추구하고, 긴장감을 끌어내기 위한 구성법으로 색채의 밀도와 붓놀림을 작품의 소재에 어울리도록 하기 위한 완급의 조율에 각별하게 노력을 기울여 왔다. 따라서 내 작품에 나타난 색채는 내 감성과 이성이 저 마음의 심연에서부터 무언가를 순간적으로 떠올려 영감을 주는 그런 색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즉흥적 테크닉의 사용은 지양(止揚)하고, 충분한 혼색(混色)으로 소재가 갖는 특성을 살리고자 치밀한 계획을 세워 접근하였다. 하지만 작품 활동을 시작하고 수십 년 세월이 흐른 지금에 이르러, 나의 예술세계는 다양한 소재보다는 ‘달(Moon)과 항아리(Jar)’라고 하는 토속적이면서 동양적이고 동시에 세계성(Globality)도 담고 있는 특정 소재에 천착(穿鑿)하게 되었고, ‘달’과 ‘항아리’가 풍기는 따듯함과 부드러움의 조화를 통해, 내 작품을 감상하는 이들에게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어릴적 추억을 통한 마음의 평화를 주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AI(Artificial Intelligence) 등의 최첨단 기술까지 작품 활동에 응용하는 미술계의 변화무쌍한 흐름이 ‘급속한 환경 변화 때문에 심신이 지쳐가는 현대인의 불안감을 더욱 증폭시키는 것은 아닌가?’라는 생각으로 나는 내 작품의 주제인 ‘달’과 ‘항아리’ 그리고 이 2가지를 합한 ‘달항아리(Moon Jar)’를 통해 현대인들에게 ‘달’의 온기와 ‘항아리’의 부드러움을 선물하고, 그들이 나의 작품에 매력과 호기심을 갖도록 도자성(陶瓷性) 화풍에 색채를 담아내고, 심미안(審美眼)의 능력을 길러, 세상 사람에게 행복과 향기를 전달하고자 오늘도 나는 ‘물감 놀이’를 즐기고 있다

#달항아리